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무릎 뒤쪽 통증 원인과 증상 테이핑 방법 및 무릎 굽힐 때 당김과 통증까지

by asd4624 2025. 4. 14.

무릎 뒤쪽이 아프고 당기는 느낌, 가볍게 여겼다가는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본문에서는 무릎 뒤쪽 통증의 다양한 원인과 증상, 그리고 의심 가능한 질환들을 정리하여 정확한 이해를 도와드립니다.

무릎 뒤쪽 통증 원인, 왜 생길까?

무릎 뒤쪽 통증은 단순한 근육통부터 인대 손상, 관절 이상, 낭종, 신경 문제 등 여러 원인에서 기인할 수 있습니다. 특히 무릎을 굽힐 때 심해지는 통증은 특정 질환과 연관된 신호일 수 있습니다.

근육과 힘줄의 문제로 인한 통증

무릎 뒤쪽에는 허벅지 뒤쪽 근육인 햄스트링과 종아리 근육인 비복근, 그리고 슬와근 같은 근육들이 분포되어 있습니다. 이들 근육 또는 힘줄이 손상되면 움직일 때마다 통증이 발생합니다.

  • 햄스트링 손상: 축구, 달리기, 점프 동작 등 운동 중에 갑작스러운 힘이 가해지면 햄스트링이 염좌되거나 파열되어 통증이 생깁니다. 특히 무릎을 굽힐 때 통증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.
  • 비복근 손상: 종아리 근육이 늘어나거나 찢어지면서 무릎 뒤쪽까지 통증이 퍼질 수 있습니다. 종종 장딴지 근육이 땡기는 느낌으로 나타납니다.
  • 슬와근 염좌: 무릎 뒤쪽의 깊숙한 곳에 있는 작은 근육으로, 이곳의 미세 손상은 무릎을 구부릴 때 뻣뻣함과 당김을 동반한 통증을 유발합니다.

관절 내부 구조의 이상

무릎 관절은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, 작은 손상도 무릎 뒤쪽에 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
  • 반월상 연골 파열: 관절 내부에 위치한 연골이 손상되면, 무릎을 구부릴 때 특히 뒤쪽에서 찌릿한 통증이 발생합니다. 오래 서 있거나 무릎을 돌릴 때도 통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.
  • 후방 십자인대 손상: 무릎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인대 중 하나로, 손상되면 무릎 뒤쪽이 아프고 걸을 때 무릎이 꺾일 것 같은 불안정감이 생깁니다.
  • 퇴행성 관절염: 노화로 인해 관절의 연골이 닳아 생기는 관절염은 주로 앞쪽에 통증이 생기지만, 경우에 따라 뒤쪽 통증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.

베이커 낭종(슬와 낭종)에 의한 압박

무릎 뒤쪽이 부풀어 오르고 누를 때 통증이 느껴진다면 베이커 낭종일 수 있습니다. 관절 내 윤활액이 무릎 뒤쪽으로 빠져나와 생기는 이 낭종은 무릎을 굽히면 압박되어 통증과 뻣뻣함을 유발합니다.

신경 및 혈관 관련 질환

  • 좌골 신경통: 허리 디스크나 좌골 신경이 눌리면 그 통증이 허벅지 뒤쪽을 따라 무릎 뒤쪽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. 찌릿하거나 저리는 느낌이 특징입니다.
  • 혈관 문제: 드물게는 혈전증이나 정맥류처럼 혈관 질환이 무릎 뒤쪽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, 붓기나 열감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.

잘못된 자세와 림프 문제

  • 오랜 시간 잘못된 자세: 다리를 꼬거나, 바닥에 무릎을 꿇고 앉는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면 무릎 뒤쪽에 근육 긴장이 누적되면서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.
  • 림프 부종: 림프 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무릎 뒤쪽에 부종과 무거운 느낌, 통증이 동반되기도 합니다.

무릎 굽힐 때 뒤쪽 통증의 경우 의심 질환

무릎을 구부릴 때 유독 뒤쪽이 아프거나 당기는 느낌이 있다면, 특정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.

햄스트링 단축 또는 손상

운동 부족, 유연성 저하, 또는 과사용으로 인해 햄스트링이 짧아지고 뻣뻣해질 수 있습니다. 무릎을 굽힐 때 근육이 늘어나면서 통증과 당김이 발생합니다. 특히 스트레칭 시 통증이 심하면 근육의 염좌나 미세 손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.

반월상 연골 손상

무릎을 굽히거나 앉았다 일어설 때 ‘뚝’ 소리와 함께 무릎 뒤쪽이 아프다면, 반월상 연골 손상을 의심해봐야 합니다. 이 부위의 손상은 반복적인 무릎 사용이나 외상으로 생기며, 움직일 때 통증이 반복됩니다.

베이커 낭종

무릎을 굽힐 때 오금 부위가 땡기고 통증이 심해지며, 혹 같은 것이 만져진다면 베이커 낭종일 가능성이 있습니다. 낭종이 클수록 무릎을 움직일 때 통증과 불편감이 커집니다.

슬와근 긴장

특히 자전거 타기, 오르막 걷기 등의 활동 후에 무릎 뒤쪽에서 깊은 통증이 나타난다면 슬와근의 긴장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. 이 근육은 무릎의 회전과 굽힘을 돕기 때문에,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통증이 발생합니다.

결론: 무릎 뒤쪽 통증은 명확한 원인 파악이 우선

무릎 뒤쪽 통증은 단순히 ‘쑤신다’는 수준에서 그치는 것이 아닙니다. 통증의 양상, 시기, 위치, 그리고 어떤 동작에서 심해지는지를 정확히 파악해야 정확한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.

지속적인 통증, 붓기, 움직임 제한이 동반된다면 반드시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 자가 진단으로 방치하거나 무리한 운동을 지속하는 것은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

 

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 보기 (클릭)